1. 정보 사회란, 정보통신기술(ICT) 기술의 발달로 사용할 수 있는 정보의 양이 많아지고 정보의 활용이 모든 업무의 중심이 되면서 부의 창출의 원천이 정보가 되는 사회.
  2. 정보 사회에서는 다품종소량생산이 가능함. 고객 개개인의 다양한 요구 맞출 수 있음.
  3. 빅데이터를 이용해 개인이 이용할 수 있는 정보가 늘어나고, 정보 전송 능력이 향상됨으로써 지역, 지식계층적 편차를 감소시킴.
  4. 정보 사회의 특징: 탈대량화 현상. 다양화, 탈전문화, 탈동시화, 탈집중ㅇ화 등등의 추세로 변화함.
  5. ** 정보 사회에서는 정보와 지식이 새로운 부 창출의 원동력이다.
  6. 탈대량생산으로 매스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해짐. 즉 개개인의 욕구 충족!
  7. 산업 사회의 생산 요소 (토지, 노동, 자본..) 의 중요성 감소. 정보 사회가 진전되면서 각 부문의 급격한 변화 생김.
  8. 현재 플랫폼의 표준을 장악하기 위한 기술 전쟁이 일어나고 있음. 재화/서비스가 모듈화되면서 표준이 요구되는 시스템 구성이 필요해짐. 이로인해 표준의 기초가 되는 정보를 장악하기 위한 전쟁이 바로 플랫폼의 표준 장악 전쟁
  9. 거대한 관료 체제 → 효율적으로 연결되고 유연성이 강조된, 낮은 공식화와 표준화를 통해 창의성이 강조되고 전문가들에게 권한이 위임되는 분권화가 이뤄짐.
  10. ** 디지털 패러다임 (사람들의 사고를 지배하는 이론적 틀이나 개념이 디지털 패러다임으로 전환됨). 시공을 초월한 상거래, 글로벌한 경쟁 환경, 산업 간 장벽의 해체(디지털 컨버전스. 컴퓨팅, 커뮤니케이션, 콘텐츠가 하나로 합쳐진 복합 기기의 등장을 의미하는 것으로 디지털 컨버전스의 등장으로 산업 간 장벽이 허물어지고 정보를 공유하는 형태로 발전되고 있음).
  11. e 비지니스 탄생. 부의 재부분배가 이뤄짐. 기업의 브랜드 가치 순위에 아이티 기업 대다수. 시공간의 제약이 없는 인터넷 때문에 동종 e 비지니스 기업 간 차별성이 없으면 1위 기업이 그 산업의 독점적 지위를 누림(빈익빈 부익부)
  12. 디지털 경제 → ***메트칼프의 법칙. 역주행의 법칙. 네트워크의 **효용은 네트워크 내의 사람 수의 **제곱비례로 증가한다는 법칙. 네트워크는 사용자 수가 증가함에 따라 사용자에게 더욱더 많은 가치를 제공하는 망외부성을 갖고 있음. 사람 수에 비례하는 것을 효용함수라고 함. 망외부성 = 어느 한 경제주체가 자신에게 맞는 최선의 선택을 할 때 다른 경제주체에게 경제적인 반대급부 없이 그 영향을 미치는 현상.
  13. ***무어의 법칙 : 컴퓨터 반도체칩(마이크로칩)의 성능은 18개월마다 2배로 증가하고 가격은 반으로 줄어든다는 법칙. 디지털 기기들은 점차 고성능화되고 저렴한 가격에 살 수 있어 대중화된다.
  14. 4차 산업 혁명 = 정보 사회가 3차 산업혁명이고 그 이후의 혁명적인 변화를 모두 포괄함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