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- LED 는 + 와 - 다리를 가지고 있다. 주로 긴 다리가 + 이다. + 를 Anode, - 를 Cathode 라고 한다.
- Voltage 를 올려서 current 를 적정 수준보다 많이 흘리게 되면, 불이 꺼지게 된다. 저항을 써서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. 압력의 차이로 인해 전류가 흐르게 된다. (물탱크 두 개가 있다고 가정하자. 하나의 물탱크에는 물이 꽉 차있고, 다른 물 탱크에는 물이 아예 없다. 그 물탱크 두 개를 호스로 연결하면, 물은 물이 꽉 차 있는 곳에서 아예 없는 곳으로 흐르게 된다. 이는 압력의 차이 때문이다. 이때 물이 흐를 수 있게 해주는 이 압력 차이를 voltage 라고 한다. 그리고 그 흐르는 물의 속도를 전류라고 한다. 이 전류 즉 물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을 저항이라고 한다. 두 물탱크 사이를 연결해 주는 호스를 지긋이 밟았다라고 생각해 보자. 그럼 물이 천천히 흐르게 될 것이다. 만약 저항을 정말 많이 넣게 되면, 물은 거의 흐르지 않는다. 전압의 차이가 있어도. )
- 전압과 전류의 조절을 통해 LED 밝기의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다. 전류는 전기가 흐르는 속도이다. 저항을 통해 전압을 조절할 수 있다.
- 적정 전압과 전류가 있어서 그걸 넘어가면 led 가 고장이 날 수도 잇다~
- 만약 저항이 없다면? 무제한 루프를 돌면서 Led 가 고장이 난다.

- 위 그림에서, 저 왼쪽 빨간색은 배터리를 의미한다. 긴 단자쪽이 + 이고 짧은 단자 쪽이 - 이다. 이를 그라운드라고 얘기한다. 위에서는 저항이 없기 때문에, 엄청난 속도로 전류가 흐르게 된다. 따라서 원하는 대로 동작하게 하려면 적정 전압과 전류를 주어야 한다.
- 레지스터는 led 에 적정한 전압과 전류를 주기 위한 장치이다. 회로 레벨에서 작동하는 저항의 경우,

이렇게 생겻고, 주주 갈이면, 33 * 10 = 330 옴의 저항을 가진 저항이다.
- 또 저항이 여러 개 직렬로 되어 있는 경우 더 큰 저항을 가지게 된다. 호스를 밟는 사람이 하나 더 늘어났다고 생각하자. 그럼 저항의 값이 누적이 된다.

- 반면 ???병렬로 되어 있는 경우, ← 잘 모르겠는.. 병렬로 연결되어 있어서 각각 독립적! 1번 호스 막아도 2번 호스 열려 있으면 잘 흘러감! 그럼 저항의 효과가 좀 약해지게 됨! 하나를 쓸 때보다 두 개를 쓰는 경우 오히려 저항의 효과가 내려감!!
- Ohm’s law 중요! 거의 유일한 공식.. V = IR 즉 전압 차이 = 전류 * 저항 이라는 것!

그림을 잠시 살펴 보자면, 2옴의 저항이 있는 곳에서 저항의 전압은 1A * 2옴 = 2V 이고, 따라서 거기를 지나가면 전압은 3V 가 된다. ? 그럼 3V 저기 지나고 나면 0V 가 되는 것인지?? ㅇㅇㅇㅇ 맞음. 왼쪽 물탱크와 오른쪽 물탱크 개념을 생각하자. 볼티지는 ‘차이’ 의 개념이다.!! 즉 2V 를 지나면 , 5V 와 오른쪽의 전압 차이가 2V 라는 것이니까, 오른쪽은 3V 가 된다!!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