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random 0 ~1 이므로, max_serve_time * rand + 1 의 범위는 1≤ <6 이다.
- 확률과 통계 지식이 있어야 이런 시뮬레이션 알고리즘을 잘 설계할 수 있다.
- 선형대수 수치해석 확률및통계학 모두 쓸모가 있다. linear algebra 모르고는 딥러닝할 수 없다. 오소프는 컴퓨터 비전 렉처인데, 리니어 알지브라 모르면 들을 수 없음.
- remove_customer 는 뱅커와 상담하고 있는 사람이 집에가면, 그 다음 손님을 큐에서 꺼내와야 하는데 이때 쓴는 함수
- service time 에서 손님이 잡아먹은 타임 - 1을 해 주어야 함. 아까 1을 더해주었으니까 (가 아닌가..? 시뮬레이션 데이터가 descrete 하기 때문에 -1 을 하게 되는.. main 의 while 문 다시 봐 보기)
- waited_time 에는 clock 즉 지금 시간에서 arrive time 을 빼주어야 함.
- clock 은 1만큼 커지는 정수 단위. 여기서 확률 이용해
트리
- 그 전까지와는 조금 다른 스타일의 자료 구조.
- linked list 는 커넥션이 있었음. stack, queue 도 비슷. 이 세개와 트리가 다른 가장 큰 것은 트리는 1D 가 아니라는 것이다.
- 트리는 부모 자식 관계 . 즉 상속 관계가 있다. 조상. multiple connection 이 있다.
- 그 다음 element 가 하나가 있냐 여러 개 있냐만 다르고 나머지는 비슷함.
- 리스트도 부모와 자식 관계라고 할 수 있는데, 간단화한 트리 구조로 볼 수 잇으므로, 트리에 속함.
- hirarchial structure 계층 구조
- lsit,stack,queue linear structure.
- 컴퓨터의 폴더 정렬 방식이나 ai 에서 주로 쓰이는 게 트리임.
- binary tree의 자손은 두 개 이하이다.
- full binary 는 모든 자손 노드가 2개로 차 있는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