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리눅스라는 공용 서버에는 각 개인을 위한 공간이 따로 할당되어 있다. 따라서 로그인을 해서 내 id 로 된 폴더에 접근해야 한다.
- 우리는 이때 putty 라는 인터페이스를 사용한다. 이는 서버에 접근학 위함이다. 리눅스 서버 번호를 푸티에게 알려주면 서버에 네트워크를 통해서 접속시켜 준다. 푸티는 윈도우에 까는 것이다.
- 서비스 별 포트 번호
- 포트 번호가 필요한 이유: 리눅스는 웹 서버 역할 외에도 역할이 많기 때문에 어떤 역할을 수행할 때는 특정 포트에 연결시켜주는 작업이 필요하다.
- Daemon 이라는 놈이 여러 포트를 본다. 예를 들어 21번 포트를 보다가 로그인할 때는 22번 포트로 볼 수 있게 하고..
- telnet(23), ssh(22) 로그인을 가능하게 해주는 포트
- http(80) 파일을 웹서비스 형태로 전송해 준다.www.naver.com 에 주로 80이 생략되어 있다.
- logout 키워드를 통해 로그아웃 할 수 있다. exit 나 ^d 도 가능!
- 리눅스 파일명 및 경로명
- 파일 명
- 대소문자를 구분해야 하고, 파일명 앞에 . 이 붙은 것은 대부분 시스템 파일이므로 파일명 앞에 . 을 붙이는 행위는 지양해야 한다.
- 경로명
- 절대경로: 루트 디렉토리서부터의 파일 위치. root 디렉토리는 /를 이용해서 나타낸다.
- /home/ewha112/a.out
- 상대 경로 = 현재 디렉토리서부터의 파일 위치
- ../a/b/c 참고로 ../ 은 조상을 ./ 은 현재 디렉토리를 의미하는데 후자는 주로 생략한다.
- manual page
- man 명령어는 manual 의 줄임말로 명령어들의 사용 설명서이다.
- man pwd 이렇게 치면 되고, 요 사이에
- man -k pwd 이렇게 하게 되면 pwd 키워드를 포함하는 모든 도움말 정보를 출력하게 된다!